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simpleroutine 님의 블로그
민법 제73조(사원의 결의권) 본문
제73조(사원의 결의권) 쉽게 이해하기
법 조항
제73조(사원의 결의권)① 각 사원의 결의권은 평등으로 한다. ② 사원은 서면이나 대리인으로 결의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③ 전 2항의 규정은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때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쉽게 풀어보기
① 각 사원의 결의권은 평등으로 한다.
이 조항은 모든 사원이 동일한 결의권을 갖는다는 원칙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즉, 어떤 사원도 다른 사원보다 더 많은 결의권을 가질 수 없으며, 모든 의사결정에서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 공정성과 민주적인 운영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 원칙입니다.
② 사원은 서면이나 대리인으로 결의권을 행사할 수 있다.
사원이 직접 총회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서면이나 대리인을 통해 결의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규정입니다. 이는 사원의 권리를 보호하고 실질적인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하지만 대리인을 지정할 경우, 정관이나 내부 규정에 따라 적절한 절차를 따라야 하며, 서면 투표도 정해진 형식에 맞춰야 유효할 수 있습니다.
③ 전 2항의 규정은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때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1항과 2항에서 언급된 평등한 결의권과 서면·대리인 행사권은 정관에서 별도로 규정할 경우 예외가 될 수 있습니다. 즉, 특정 조직에서는 정관을 통해 결의권의 비율을 달리 정하거나, 대리 행사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원이 소속된 단체의 정관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이런 규정이 있을까?
- 평등한 의결권 보장: 특정 사원이 더 많은 권리를 갖지 않도록 하여 공정한 의사결정을 유도합니다.
- 참여 기회 확대: 직접 참석이 어려운 사원도 서면이나 대리인을 통해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조직 운영의 유연성 확보: 정관을 통해 조직의 특성에 맞게 규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원의 결의권 행사 시 유의할 점
- 정관 확인 필수: 평등한 결의권이나 대리 행사 가능 여부가 정관에서 다르게 규정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서면 및 대리인 행사 절차 준수: 특정한 형식이나 사전 승인 절차가 요구될 수 있으므로 내부 규정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당한 결의권 행사 보장: 특정 사원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공정한 의사결정 절차를 유지해야 합니다.
마무리
제73조(사원의 결의권)는 사원의 평등한 의사결정 참여를 보장하는 핵심 규정입니다. 또한, 서면이나 대리인을 통한 결의권 행사도 가능하도록 하여 현실적인 유연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관의 규정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원들은 반드시 소속 단체의 정관을 확인하고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규정을 준수함으로써 공정하고 투명한 조직 운영을 유지하고, 사원들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행복하세요. ^^
728x90
'민법 쉽게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 제75조(총회의 결의방법) (0) | 2025.02.27 |
---|---|
민법 제74조(사원이 결의권 없는 경우) (0) | 2025.02.25 |
민법 제72조(총회의 결의사항) (0) | 2025.02.25 |
민법 제71조(총회의 소집) (1) | 2025.02.25 |
민법 제70조(임시총회)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