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단법인 (10)
simpleroutine 님의 블로그
오늘은 **민법 제78조(사단법인의 해산결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조항은 사단법인이 해산을 결정할 때 필요한 요건을 규정하고 있습니다.민법 제78조(사단법인의 해산결의) 사단법인은 총사원 4분의 3 이상의 동의가 없으면 해산을 결의하지 못한다. 그러나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때에는 그 규정에 의한다.🔍 조문 해설1. 해산결의 요건사단법인이 해산을 결정하려면 총사원(전체 회원)의 4분의 3 이상이 동의해야 합니다. 이는 단체의 해산이 중요한 사안이므로, 구성원의 압도적인 동의를 필요로 한다는 의미입니다. 2. 정관의 우선 적용다만,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규정을 따릅니다. 즉, 정관에서 해산에 대한 별도의 요건이나 절차를 정하고 있다면, 법률보다 정관의 규정이 우선 적용됩니다...
📌 민법 제70조(임시총회) 쉽게 이해하기!안녕하세요! 오늘은 **민법 제70조(임시총회)**에 대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법률 용어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차근차근 알아가면 그렇게 어렵지 않답니다. 😊 제70조(임시총회) ①사단법인의 이사는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임시총회를 소집할 수 있다. ②총사원의 5분의 1 이상으로부터 회의의 목적사항을 제시하여 청구한 때에는 이사는 임시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 이 정수는 정관으로 증감할 수 있다.③전항의 청구있는 후 2주간내에 이사가 총회소집의 절차를 밟지 아니한 때에는 청구한 사원은 법원의 허가를 얻어 이를 소집할 수 있다.1. 임시총회란 무엇일까요?임시총회란 말 그대로 "임시로 여는 총회"를 뜻해요.사단법인에는 총회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법인의 ..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단법인의 통상총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민법 제69조의 내용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민법 제69조(통상총회) 원문 제69조(통상총회) 사단법인의 이사는 매년 1회 이상 통상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쉽게 풀어보는 통상총회의 의미통상총회는 법인의 운영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항을 논의하는 정기적인 회의입니다. 법에서 ‘매년 1회 이상’ 소집하도록 규정한 이유는 법인의 운영이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1. 통상총회의 주요 역할✔ 법인의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보고하는 자리입니다.✔ 예산 승인, 사업 계획 수립 등 중요한 사항을 논의합니다.✔ 이사 및 임원의 선임 또는 해임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2. 이사가 총회를 소집하는 이유✔ 법인의 구성원(회..
제68조(총회의 권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법인의 총회가 가지는 권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민법 제68조의 내용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민법 제68조(총회의 권한) 원문 제68조(총회의 권한) 사단법인의 사무는 정관으로 이사 또는 기타 임원에게 위임한 사항외에는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야 한다.쉽게 풀어보는 총회의 권한총회는 법인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입니다. 즉, 법인의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사나 임원들에게 위임되지 않은 모든 사항은 총회에서 결의해야 합니다. 이를 좀 더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1. 총회의 역할과 기능✔ 법인의 주요 운영 방침을 결정합니다.✔ 정관 변경, 예산 승인, 중요한 계약 체결 등의 결정을 내립니다.✔ 이사 및 임원의 선임..
이사의 대표권, 어떻게 행사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법인의 운영에서 중요한 이사의 대표권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법인을 운영하거나 창업을 계획 중이시라면 끝까지 읽어보세요!제59조(이사의 대표권)① 이사는 법인의 사무에 관하여 각자 법인을 대표한다. 그러나 정관에 규정한 취지에 위반할 수 없고 특히 사단법인은 총회의 의결에 의하여야 한다.② 법인의 대표에 관하여는 대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이사는 법인을 대표할 수 있다!① 이사는 법인의 사무에 관하여 각자 법인을 대표한다. 그러나 정관에 규정한 취지에 위반할 수 없고 특히 사단법인은 총회의 의결에 의하여야 한다. 법인의 이사는 단순히 내부 업무를 처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법인을 외부적으로 대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즉, 계약 체결, 자산 ..
민법 제56조: 사단법인의 사원권 양도 및 상속 금지안녕하세요! 오늘은 **민법 제56조(사원권의 양도, 상속 금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조항은 사단법인의 사원(회원)으로서의 지위는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상속할 수 없다는 원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즉, 사단법인의 구성원(사원)은 개인적인 자격으로 가입하는 것이며, 사망하거나 탈퇴할 경우 그 지위를 다른 사람에게 넘길 수 없다는 점이 핵심입니다.민법 제56조: 조문과 주요 내용먼저, 민법 제56조의 조문을 살펴볼게요.민법 제56조 (사원권의 양도, 상속 금지)사단법인의 사원의 지위는 양도 또는 상속할 수 없다. 이 조항에서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사단법인의 사원(회원) 자격은 개인에게 귀속되는 것이므로, 양도할 수 없음사원이 사망하더..
민법 제55조: 법인의 재산목록 및 사원명부 비치 의무안녕하세요! 오늘은 **민법 제55조(재산목록과 사원명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조항은 법인이 재산 및 구성원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산목록과 사원명부를 작성하고 보관해야 한다는 의무를 규정하고 있습니다.즉, 법인은 재산 상황을 투명하게 관리해야 하며, 사단법인은 사원(회원) 명부를 작성하고 변경 사항을 기록해야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민법 제55조: 조문과 주요 내용먼저, 민법 제55조의 조문을 살펴볼게요.민법 제55조 (재산목록과 사원명부)① 법인은 성립한 때 및 매년 3월 내에 재산목록을 작성하여 사무소에 비치하여야 한다. 사업연도를 정한 법인은 성립한 때 및 그 연도 말에 이를 작성하여야 한다.② 사단법인은 사원명부를 비치하고..
민법 제42조: 사단법인의 정관 변경 요건과 절차안녕하세요! 오늘은 **민법 제42조(사단법인의 정관 변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조항은 사단법인의 정관을 변경하려면 일정한 절차를 따라야 하며,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효력이 발생한다는 원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즉, 법인의 운영 방식을 변경하려면 일정부분 이상의 총사원 동의를 받아야 하고, 주무관청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민법 제42조: 조문과 주요 내용먼저, 민법 제42조의 조문을 살펴볼게요.민법 제42조 (사단법인의 정관의 변경)① 사단법인의 정관은 총사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있는 때에 한하여 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정수(定數)에 관하여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때에는 그 규정에 의한다.② 정관의 변경은 주무관청의..
민법 제40조: 사단법인의 정관 작성 요건안녕하세요! 오늘은 **민법 제40조(사단법인의 정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조항은 사단법인을 설립할 때 반드시 정관을 작성해야 하며, 정관에 포함해야 할 필수 항목을 규정하고 있다는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민법 제40조: 조문과 주요 내용먼저, 민법 제40조의 조문을 살펴볼게요.민법 제40조 (사단법인의 정관)사단법인의 설립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재한 정관을 작성하여 기명날인하여야 한다.1. 목적2. 명칭3. 사무소의 소재지4. 자산에 관한 규정5. 이사의 임면에 관한 규정6. 사원 자격의 득실에 관한 규정7. 존립 시기나 해산 사유를 정하는 때에는 그 시기 또는 사유 이 조항에서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사단법인을 설립하려면 정관을 반..
민법 제32조: 비영리법인의 설립과 허가안녕하세요! 오늘은 **민법 제32조(비영리법인의 설립과 허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조항은 영리 목적이 아닌 단체나 재단이 법인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 기관(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원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즉, 개인이 마음대로 비영리법인을 설립할 수 없으며, 국가의 감독 아래 공익을 위한 단체만 법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민법 제32조: 조문과 주요 내용먼저, 민법 제32조의 조문을 살펴볼게요.민법 제32조 (비영리법인의 설립과 허가)학술, 종교, 자선, 기예, 사교 기타 영리 아닌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사단 또는 재단은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어 이를 법인으로 할 수 있다. 이 조항에서 중요한 부분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