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simpleroutine 님의 블로그
민법 제179조(제한능력자의 시효정지) 본문
👶 “아이도 권리를 잃을 수 있나요?”
— 민법 제179조, 제한능력자와 시효정지
📬 “아직 미성년자인데, 권리가 시효로 사라져도 되는 걸까요?”
우리가 알고 있는 소멸시효는 시간이 지나면 권리가 사라지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민법은 그렇게 차갑기만 한 건 아닙니다.
특히 보호받아야 할 사람들, 예컨대 미성년자나 심신이 미약한 자처럼 법적 판단력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그 보호장치 중 하나가 바로 민법 제179조입니다.
📘 민법 제179조 – 제한능력자의 시효정지
제179조(제한능력자의 시효정지) 소멸시효의 기간만료 전 6개월 내에 제한능력자에게 법정대리인이 없는 경우에는 그가 능력자가 되거나 법정대리인이 취임한 때부터 6개월 내에는 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다.
🔍 쉽게 풀이하면?
이 조항은 딱 두 가지 핵심으로 요약됩니다:
- 시효 만료가 임박했을 때(6개월 전)
- 권리자가 미성년자 등 제한능력자인데 법정대리인도 없다면,
👉 시효는 바로 끝나지 않고,
👉 그 사람이 능력자가 되거나 대리인이 생긴 뒤 6개월이 더 주어진다!
✅ 즉, 시효 만료 직전에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유예 기간’을 부여하는 조항입니다.
💡 예시로 이해해보기
📌 예시 1: 미성년자에게 법정대리인이 없는 경우
- A는 15세이며, 부모님 모두 사망하여 현재 후견인도 없는 상태입니다.
- A가 상속받은 채권의 시효 완성 예정일이 2025년 6월 30일인데, 이 시점 6개월 전인 2024년 말에도 대리인이 없습니다.
✅ 이 경우,
- A가 2026년 1월에 성년이 되거나, 법정대리인이 2025년 9월에 생기면, 그 시점부터 6개월 안에는 시효가 완성되지 않습니다.
🧾 실무 팁
- 시효 만료일이 임박한 제한능력자의 권리는 자동으로 연장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대리인 부재 상태라는 조건이 충족돼야 합니다. - 소송, 압류 등 시효를 중단시킬 수 있는 방법도 함께 고려하세요.
이 조항은 한정적인 보호만 제공하므로, 주의 깊게 대응해야 합니다. - 후견인 지정 절차를 미루지 마세요.
미성년자나 치매환자 등에게 법정대리인이 필요하다면, 빠른 지정 절차를 통해 권리 보호의 안전망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 시효 만료 전 6개월 이내에 제한능력자 + 법정대리인 부재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 그 사람이 능력자가 되거나 대리인이 생길 때까지 기다려주고, 6개월이 더 주어진다! - 이 조항은 민법이 제한능력자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한 장치입니다.
- 실무에서는 상속, 미성년자 계약, 치매 어르신의 재산권 분쟁 등에 자주 등장합니다.
권리도 사람처럼 보호받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오늘도 따뜻한 민법, 함께 배워가요.
오늘도 행복하세요. 😊
728x90
'민법 쉽게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 제181조(상속재산에 관한 권리와 시효정지) (0) | 2025.04.16 |
---|---|
민법 제180조(재산관리자에 대한 제한능력자의 권리, 부부 사이의 권리와 시효정지) (0) | 2025.04.14 |
민법 제178조(중단후에 시효진행) (0) | 2025.04.14 |
민법 제177조(승인과 시효중단) (0) | 2025.04.14 |
민법 제176조(압류, 가압류, 가처분과 시효중단)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