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민법에서는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그 동산에 걸려 있던 권리들 — 예를 들면 저당권, 질권, 임대권 등은 그럼 어떻게 될까요?
이런 부착된 권리의 운명을 다루는 규정이 바로 👉 민법 제260조 - 첨부의 효과입니다.
제260조(첨부의 효과) ①전4조의 규정에 의하여 동산의 소유권이 소멸한 때에는 그 동산을 목적으로 한 다른 권리도 소멸한다.
②동산의 소유자가 합성물, 혼화물 또는 가공물의 단독소유자가 된 때에는 전항의 권리는 합성물, 혼화물 또는 가공물에 존속하고 그 공유자가 된 때에는 그 지분에 존속한다.
이 조항은 부합, 혼화, 가공 등으로 동산의 소유권이 변동되었을 때, **기존에 붙어 있던 다른 권리들(담보권 등)은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규정입니다.
“동산의 소유권이 사라지면, 그 동산에 붙어 있던 **권리도 같이 사라진다.”
예를 들어
**질권(質權)**은
채무자가 돈을 갚을 때까지, 채권자가 채무자의 동산 또는 재산권을 직접 점유하면서, 우선적으로 그 물건에서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다만, 새로 생긴 물건의 소유자가 여전히 그 사람이거나, 지분이 있는 공유자라면, 원래 권리는 그 새로운 물건에 그대로 이어진다.
A는 자기의 철재를 담보로 B에게 질권을 설정해주었습니다.
그런데 C가 그 철재를 가공하여 전체를 자신의 소유로 만들었고, 소유권은 A → C로 넘어갔습니다.
➡ 이 경우, A의 소유권이 사라졌으므로, 철재에 붙어 있던 질권도 소멸하게 됩니다.
즉, B는 더 이상 권리를 주장할 수 없어요.
이번엔 A와 B가 각자의 재료를 섞어 하나의 제품을 만들었고, 각자 지분을 가진 공유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A는 재료를 넣기 전부터 질권을 설정해두었어요.
→ 이 경우에는 소유권이 완전히 사라진 게 아니므로,
→ A의 지분에 대해서는 질권이 그대로 살아 있습니다
민법 제260조는
“동산이 합쳐지거나 변형될 때, 그 위에 설정된 권리는 어떻게 되나?”
에 대한 법적 기준을 제시합니다.
즉, 소유권과 권리는 함께 움직이는 구조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어요.
동산 거래나 담보 실무에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조항입니다.
오늘도 행복하세요.
| 민법 제262조_하나의 물건, 여러 명이 주인이라면? (0) | 2025.05.22 |
|---|---|
| 민법 제261조_내 물건을 사용했는데,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구요? (0) | 2025.05.19 |
| 민법 제259조_내 나무로 만든 가구, 누가 소유자가 될까? (0) | 2025.05.19 |
| 민법 제258조_내 쌀이랑 네 쌀이 섞였다면(분리불가능), 누구 소유? (0) | 2025.05.19 |
| 민법 제257조_함께 조합해서 만든 물건, 누구의 소유물이지?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