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이나 일상생활에서 이런 상황, 한 번쯤 겪어보셨을 거예요.
“야, 나 그 계약 인정 안 해!”
“오, 그래? 근데 그 얘기, 계약 상대방한텐 안 했잖아?”
진짜 중요한 건 누구에게 말했느냐입니다.
계약을 인정(추인)하거나 거절하는 의사표시는 당사자 간의 명확한 전달이 필수예요.
내 마음속으로는 정해졌어도, 상대방이 모르면 소용없다는 게 법의 입장입니다.
바로 이걸 다룬 조항이 **민법 제132조 ‘추인, 거절의 상대방’**입니다.
제132조(추인, 거절의 상대방) 추인 또는 거절의 의사표시는 상대방에 대하여 하지 아니하면 그 상대방에 대항하지 못한다. 그러나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안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추인이나 거절의 의사표시는 반드시 계약 상대방에게 해야 효력이 있다. 단, 상대방이 알기만 했다면 굳이 직접 말 안 해도 괜찮다.”
여기서 말하는 **‘상대방’**이란, 무권대리 계약이 성립했을 때의 계약 상대방, 즉 거래 상대방입니다.
본인의 추인(계약 인정)이나 거절(계약 무효)은 그 상대방이 알아야 법적 효과가 생겨요.
거래는 '혼잣말'로 이루어지지 않죠.
법률 행위는 언제나 상대방과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내가 속으로 "이 계약 인정 못 해"라고 수십 번 외쳐봤자, 상대방이 모르면 그건 아무 의미가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법은 의사표시의 도달, 즉 상대방에게 알리는 것을 중시합니다.
다만, 상대방이 이미 그 내용을 사실상 알게 된 경우라면, 굳이 통지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예외를 두고 있어요.
본인이 상대방에게 추인/거절을 직접 통지 | ✅ 유효 |
본인이 제3자에게만 말하고, 상대방은 모름 | ❌ 효력 없음 |
상대방이 사실상 내용을 알게 된 경우 | ✅ 예외적으로 효력 있음 |
제130조 | 무권대리 계약은 본인이 추인해야 효력 발생 |
제131조 | 상대방은 본인에게 ‘확답’을 요구할 수 있음 |
제132조 | 추인/거절은 반드시 ‘상대방’에게 해야 효력 있음 |
이렇게 연결해서 보면,
민법은 무권대리라는 불안정한 상태를
명확하게 정리하고 마무리할 수 있도록 단계별 절차를 제시하고 있어요.
민법 제132조는 작지만 아주 중요한 조항입니다.
**“의사표시는 결국, 전달이 핵심이다”**라는 민법의 기본 원칙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죠.
내가 마음속으로 무슨 결정을 했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결정을 누구에게, 어떻게 전달했느냐가 핵심입니다.
특히 대리, 무권대리, 추인과 관련된 복잡한 계약 상황에서는 "확실히, 정확히, 직접"
→ 이 세 가지 키워드를 기억해두시면 좋습니다.
오늘도 행복하세요.
#민법132조 #추인의상대방 #계약거절 #무권대리 #의사표시 #계약법 #민법해설 #법률상식 #일상속법률 #대리제도
민법 제134조(상대방의 철회권) (0) | 2025.03.27 |
---|---|
민법 제133조(추인의 효력) (0) | 2025.03.26 |
민법 제131조(상대방의 최고권) (0) | 2025.03.26 |
민법 제130조(무권대리) (0) | 2025.03.26 |
민법 제129조(대리권소멸후의 표현대리)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