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두환 정부 1970~1980년대(시험/학습용 정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

by simpleroutine 2025. 7. 9. 13:00

본문

🧩 전두환 정부

오늘은 전두환 정부의 주요 사건과 흐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현대사를 공부하시는 분들, 수험생이나 입문자 분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전두환 정부 

 (1) 신군부 등장

 

(배경) 10.26 사태에 따른 계엄령 선포, 통일 주체 국민회의에서 최규하 대통령 선출(1979.12.6)

● 전두환 등 신군부가 정변으로 군사권 장악(12.12)

 

=> (저항) 서울의 봄(1980) : 유신 헌법 폐지, 비상 계엄 철폐 등 민주화 요구(서울역 시위 5.15)

=> 비상계엄 전국 확대(5.17), 정치 활동 금지

 

(2) 5.18 민주화 운동(1980)

 

(배경) 5.17 비상계엄 전국 확대, 국회 폐쇄, 정치활동 금지, 대학 폐쇄, 파업 금지, 언론 검열, 정치인 체포 등

① 전남 광주에서 비상 계엄 확대 저항 시위(5.18)
② 계엄군의 무차별 시위 진압
③ 시위 군중들의 무장(시민군 편성) ← 많은 사상자 발생

=> 5.18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등재

 

(3) 전두환 정부 수립

●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구성(입법, 사업, 행정 3권 장악)
● 언론인 강제 해직 및 삼청 교육대 운영
● 최규하 대통령 사임
제11대 대통령으로 전두환 선출(통일 주체 국민 회의,1980)
● 헌법 개정(간접선거, 대통령임기 7년, 1980)
제12대 대통령 전두환 선출(대통령 선거인단, 1981)

 

(4) 전두환 정부 정책

● 민주화 운동과 인권 탄압, 언론 통제, 정치 활동 금지 이후,
● 재적 학생 복교, 민주화 인사 복권
● 교복과 두발 자유화, 야간 통금 해제
● 해외 여행 자유화 
● 프로 야구 출범
● 86 아시아 경기 대회 개최, 88 서울 올림픽 유치 등

 

(5) 6월 민주 항쟁(1987)

(배경1) 1985년 국회 의원 선거에서 야당 국회의원 다수 당선(대통령 직선제 개헌 운동 추진)

(배경2)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1987.1)

(배경3) 4.13 호헌 조치(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전두환 정부가 거부, 1987.4)

① 개헌 요구 시위 중 이한열 의식 불명 후 사망
② 시민과 학생의 6.10 대회 선언문 발표(전국 확산)

=> 6.29민주화 선언(노태우가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수용 시국 수습 방안 발표)

=> 여야합의로 헌법 개정(1987.10 → 대통령 직선제, 5년 단임제(현행)

 


✏️ 필사 배경 – 나의 기록 루틴

이 글은 2025년 7월 8일, '한국사 흐름'을 다시 붙잡기 위해 필사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공부는 머리에 담기기 전에, 손을 거쳐야 기억에 남는다는 믿음으로 작성했습니다.
작은 기록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