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광복, 분단, 정부 수립, 6.25 전쟁(시험/학습용 정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

by simpleroutine 2025. 7. 7. 14:56

본문

🧩 광복부터 전쟁까지, 현대사의 시작

1945년 8.15 광복은 식민지 지배의 끝이자 분단과 정부 수립, 전쟁의 시작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광복 이후~6.25 전쟁까지의 현대사 주요 흐름을 시기별로 정리했습니다.

학생, 수험생, 한국사 입문자 분들께 도움이 될 거예요.


1. 8.15 광복과 정치상황

 (1) 광복 직전 건국 준비 단체 3가지

① 대한민국 임시정부(1940년 충칭에 정착)
② 조선 독립 동맹 1942 (중국 옌안, 김두봉 등 사회주의 계열)
③ 조선 건국 동맹 1944 (국내, 여운형이 좌우세력 연합 건국 준비) -> 광복 직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개편

 

(2) 국제 사회의 한국 독립 약속 회담 2가지

① 카이로 회담 1943 (한국을 적절한 시기에 독립시키기로 결의)
② 포츠담 회담 1945 (한국 독립 재확인)

 

(3) 8.15 광복 및 38도선 획정

38도선(일본군 무장 해제 구실로 미국의 제안을 소련이 수용)
* 38도선 이남(미군정이 직접 통치)
* 38도선 이북(소군정이 간접 통치_공산주의 정권 수립 지원, 민족주의 인사 대거 숙청)

 

(4)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결성 1945.8

① 여운형, 안재홍 중심의 좌우연합
→ 전국에 지부 설치, 치안대 조직
② 조선 인민 공화국 선포 1945.9
→ 좌익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불만, 안재홍 등 우익세력 탈퇴 

 

(5) 우익과 좌익

(우익) 송진우, 김성수 등이 한국 민주당 조직, 김구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인사 귀국, 이승만 등이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 결정
(좌익) 박헌영 등이 조선 공산당 재건(이후, 남조선 노동당으로 개편)

 

(6)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1945.12

미국, 영국, 소련의 외무장관이 모스크바에 모여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

[결정사항]
● 민주주의 임시정부 수립
● 미소공동위원회 설치
● 최고 5년 기한 4개국(미국, 영국, 소련, 중국)의 한반도 신탁 통치
   → 반탁운동(우익_김구, 이승만 등) vs. 신탁 지지(좌익_소련의 지령)

 

2. 통일 정부 수립 노력

(1) 제1차 미소공동 위원회(1946.3~5)

[소련]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지지 단체로 임시 정부 수립을 주장
[미국] 소련의 주장 반대

 

(2) 이승만의 정읍 발언 1946.6

① 38도선 이북 소련 철퇴
②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주장 ←한국 민주당의 지지

 

(3) 좌우합작 운동(1946~1947)

중도 우파 김규식과 중도 좌파 여운형 등 중도 세력이 좌우 합작 위원회 결성 ← 미군정의 지원

● 토지개혁 실시, 친일파 처리 등 좌우 합작 7원칙 발표1946.10
● 좌우세력 불참, 여운형의 피살 1947, 냉전체제 격화로 미군정의 지원 철회 등으로 실패

 

(4) 한국 문제의 유엔 상정

①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 결렬
② 미국이 한국문제 4대국 회담 상정 주장(←소련거부)
③ 미국이 한국문제 유엔에 상정
    → 유엔 총의 결과(인구 비례에 따라 총선거 실시안 가결 1947.11)
④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내한(소련의 북한지역 방문 거부)
    → 유엔 소총회의 '위원단이 접근 가능한 지역의 총선거'결의 1948.2

 

(5) 남북 협상(1948.4)

● 김구와 김규식의 남북 지도자 회의 제의
   → 평양에서 남북 지도자 회의 개최
   → 남북한 공동 성명 발표
● 외국 군대 즉시 철수, 남한 단독 선거 반대, 조선청치회의 구성을 통한 총선거 등
   → 특별한 성과로 이어지지 못함

 

결국, 김구는 5.10총선거에 불참 후 암살(1949.9)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1) 제주 4.3사건 1948

제주의 좌익세력이 5.10총선거 반대 무장 봉기, 지역구 2곳에서 5.10총선거 무효화, 진압과정에서 제주 주민 큰 희생

 

(2) 여수, 순천 10.19사건 1948

제주 4.3사건 진압 투입에 여수 주둔 군대(군대 내 좌익 세력)가 반발하여 발생

 

(3) 5.10 총선거

● 우리나라 최초 민주 보통선거
● 제헌 국회 의원 선출(임기 2년)
● 38도선 이남 지역에서만 실시

 

(4) 제헌 헌법 공포 1948.7.17

● 국호 대한민국 / 대통령 중심제 / 삼권분립
● 대통령, 부통령 선출 ← 국회 간접선거로 선출

 

(5)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8.8.15

●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 유엔의 승인 1948.12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로 승인)

 

4. 제헌 국회의 활동

(1) 반민족 행위 처벌법(반민법) 제정 1948.9

①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활동 개시
② 친일 혐의자 체포 및 조사 (친일 혐의자: 박흥식, 노덕술, 최린, 최남선, 이광수 등)
③ 이승만 정부의 소극적 태도와 친일파 반대 공작
    → 국회 프락치 사건(①위원이 공산당과 접촉했다는 이유로 구속), 반민 특위 습격 사태 등
④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활동 기간 축소(1년만에 해체) : 친일파 청산 좌절

 

(2) 농지 개혁법 제정(1949.6)

※ 지주 계급 소멸(산업 자본가로 전환)하고, 자작농 증가

● 유상 매수, 유상 분배
● 1가구당 3정보 이내로 토지 소유 제한

 

5. 6.25전쟁

(1) 6.25전쟁 배경

● 남한에서 미군 철수
● 중국의 공산화 1949
● 미국의 애치슨 선언 1950.1 (미국 태평양 방위선에서 한국과 대만 제외)
● 북한의 남침 준비 (① 소련과 군사비밀협정 체결, ② 중국 지원으로 조선의용군이 인민군에 편입)

 

(2) 6.25전쟁 전개

① 북한의 남침 1950.6.25 및 서울 함락 1950.6.28
② 유엔군 파병 결정 
③ 국군, 유엔군의 낙동강 방어선 구축
④ 인천 상륙 작전 1950.9.15 및 서울 수복 1950.9.28
⑤ 평양 탈환 1950.10.19 이후, 중국군 개입 1950.10.25
⑥ 국군, 유엔군의 최대 북진 1950.11.25 이후, 1.4후퇴(1951.1.4)
⑦ 휴전협상(이승만 정부의 반공 포로 석방) 및 휴전 협정 조인 1953.7.27

 


✏️ 필사 배경 – 나의 기록 루틴

이 글은 2025년 7월 7일, '현대사 흐름'을 다시 붙잡기 위해 필사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공부는 머리에 담기기 전에, 손을 거쳐야 기억에 남는다는 믿음으로 작성했습니다.
작은 기록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