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저 건물도 제 명의로 넘어왔고, 원래 설정돼 있던 저당권도 제 거예요.”
“그럼 저당권은 여전히 유효한 건가요?”
부동산을 사거나 상속받다 보면 종종 이상한 상황이 생깁니다.
하나의 물건에 대해, 원래는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어야 할 두 권리가 한 사람에게 동시에 생기는 경우가 있죠.
예를 들어,
📌 💬 용어 정리 – 저당권이란?
저당권은 채권자가 채무자의 부동산을 담보로 잡아두는 권리입니다.
채무자가 돈을 갚지 않으면, 저당권자는 그 부동산을 팔아서 돈을 회수할 수 있어요.
즉, **부동산을 담보로 한 ‘돈 받을 권리’**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주체에게 있어야 할 권리가 같은 사람에게 겹쳐지는 것을 법에서는 **‘혼동(混同)’**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혼동이 생기면 어떤 법적 효과가 발생하는지 규정한 조문이 바로 민법 제191조입니다.
제191조(혼동으로 인한 물권의 소멸) ①동일한 물건에 대한 소유권과 다른 물권이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때에는 다른 물권은 소멸한다. 그러나 그 물권이 제삼자의 권리의 목적이 된 때에는 소멸하지 아니한다.
②전항의 규정은 소유권이외의 물권과 그를 목적으로 하는 다른 권리가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경우에 준용한다.
③점유권에 관하여는 전2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이 조항의 문구를 다시 적어보겠습니다.
①동일한 물건에 대한 소유권과 다른 물권이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때에는 다른 물권은 소멸한다. 그러나 그 물권이 제삼자의 권리의 목적이 된 때에는 소멸하지 아니한다.
의 핵심은 이렇습니다:
"하나의 사람이 같은 물건에 대해 '소유자'이자 '권리자'가 되는 순간, 그 권리는 더 이상 필요 없으니 자동 소멸된다."
이러한 상황을 우리는 **‘혼동에 의한 물권 소멸’**이라고 합니다.
👉 이 경우 A는 자기 건물에 자기 이름으로 저당권을 설정한 셈이죠.
👉 말이 안 되죠? 그래서 법은 이 저당권은 자동으로 소멸된다고 봅니다. (소유권 WIN)
만약 그 저당권이 단순히 A 개인만의 권리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권리를 담보하는 수단이라면 어떻게 될까요?
이럴 땐 법이 예외를 둡니다.
📌 💬 용어 정리 – 제3자의 권리란?
여기서 말하는 제3자란, 소유자(A)나 이전 권리자(B)가 아닌 별개의 사람으로, 그 물권을 양도받거나 담보로 설정받은 사람을 말합니다.
👉 이때 저당권은 단순히 A의 권리가 아니라, C의 권리를 보호하는 수단이므로
👉 소멸하지 않습니다.
✅ 핵심 요약:
혼동이 일어나도 제3자의 권리가 얽혀 있다면, 해당 물권은 소멸하지 않습니다.
이 조항은 “소유권이 아닌 물권끼리도 겹칠 수 있다”는 점을 말합니다.
즉, 소유권이 아닌 전세권, 지역권, 유치권 등도 포함됩니다.
📌 💬 용어 정리 – 전세권이란?
전세권은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주고 일정 기간 동안 타인의 부동산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일종의 ‘돈 주고 사는 사용권’이에요.
👉 이 경우, 전세권은 소유권과 겹치는 불필요한 권리가 되었으므로 소멸됩니다.
점유권은 예외입니다.
점유는 소유권이나 물권과 달리 사실상의 지배 상태이기 때문에, 소유권과 겹치더라도 소멸하지 않습니다.
📌 💬 용어 정리 – 점유권이란?
점유권은 물건을 실제로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권리입니다.
예를 들어, 세입자, 창고 보관인, 임대차 계약자 등은 점유자입니다.
👉 이때 B는 여전히 임대차 계약상 점유자이므로,
👉 점유권은 혼동으로 소멸하지 않습니다.
✅ "한 사람이 모든 권리를 가지게 되면, 필요 없는 권리는 사라진다 – 이것이 ‘혼동’의 법적 효과입니다."
오늘도 행복하세요.
민법 제193조(상속으로 인한 점유권의 이전) (0) | 2025.04.21 |
---|---|
민법 제192조(점유권의 취득과 소멸) (0) | 2025.04.21 |
민법 제190조(목적물반환청구권의 양도) (0) | 2025.04.18 |
민법 제189조(점유개정) (0) | 2025.04.18 |
민법 제188조(동산물권양도의 효력, 간이인도) (0) | 2025.04.18 |